전시일정 2025년도 올해의 작가 김지영展 2025년도 올해의 작가 김지영展 구분 전시 장르 전시 전시기간 2025-09-01~2025-10-30 전시시간 10:00~19:00 전시장소 상설전시장 티켓정보 무료 관람등급 주최 주관 울산문화예술회관 전시문의 052-226-8253 돌아가기 상세정보 <span style="font-size:16.0pt"><span style="font-family:HY견고딕"><strong>이미지와 진실 사이의 균열</strong></span></span><br /> <br /> 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<span style="font-family:휴먼명조"> <span style="font-family:Arial,Helvetica,sans-serif"> 이번 전시는 기술이 개입된 이미지 생성 방식을 통해 사진 매체의 존재론적 지위 변화를 탐구하는 실험적 프로젝트로 </span></span></span><span style="font-family:Arial,Helvetica,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15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점의 사진 작품을 선보인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김지영 작가는 전통적인 사진의 본질이었던 현실과의 인덱스적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(indexical)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관계가 현대 기술로 인해 어떻게 해체되고 있는지를 다층적인 시각 언어로 드러낸다.<br /> <br /> <br /> 전시는 크게 두 축으로 구성된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먼저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,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실존하지 않는 인물 이미지를 생성한 인물 작업은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‘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사진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’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이 여전히 현실에 기반한 정체성을 부여받는 믿음의 매체임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이어지는 풍경 연작은 동일한 장소를 아날로그 사진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,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디지털 이미지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,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생성 이미지 등 다양한 기술 매체로 반복 재현하며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‘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존재와 재현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’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</span><br /> <br /> <br /> 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 아날로그 사진이 보여주는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‘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포착된 실재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’,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디지털 이미지의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‘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조작된 실재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’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를 통해 관람자는 이미지와 현실 간의 경계가 무너진 현대 시각문화의 본질과 마주하게 된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작가는 이번 작업을 통해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‘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이미지의 불확실성을 자각하는 동시에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, 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사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시대의 시각적 문해력이 필요함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’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을 제안한다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15.0pt">.</span></span> <div> </div> <div> </div> <span style="font-family:Arial,Helvetica,sans-serif"> </span> <div> </div>